안녕하십니까, 얌준입니다.
오늘은 셔터속도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A3Vf/btqC4trfLhD/KJvkeaTbkGR8KyW4cgyYS0/img.png)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노출의 3요소라 했던 조리개, 셔터속도, ISO 감도 중 셔터속도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얌준의 사진강좌 :: 노출의 3요소(조리개, 셔터속도, 감도(ISO)) 에 대한 이야기
안녕하십니까, 얌준입니다. 오늘은 포토샵이 아닌 사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요즘 스마트폰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많은 분들이 굳이 카메라를 사지 않아도 정말 이쁜 사진들을 만들어내곤 합니다. 그..
yamjoon.tistory.com
못 보신 분들은 위에 포스팅을 먼저 확인하고 와주시기 바랍니다 : )
#1. 항상 눈을 감고 있는 카메라, 셔터란 무엇인가?
아재들은 기억하실런지 모르겠다. 요즘에는 전혀 보이진 않는 가게마다 있던 셔터문이 있었다는 것을..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위아래로 올렸다가 내렸다 하면서 문을 여닫는 시스템이었다. 요즘에는 이런 셔터가 전혀없지만 한때는 가게마다 없는게 없었던 문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d9aTGp/btqC3rm61m6/6OVvcsskLdW3XHkmdXKJD1/img.jpg)
카메라에서 작동하는 셔터도 위와같은 형태를 갖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xXLom/btqC48UMfc6/mTUsSKqawDCzheLO8fxl90/img.jpg)
셔터박스 또한 이런식으로 위아래로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셔터가 열렸다가 닫히는 시간을 갖고 셔터속도라고 한다. 셔터속도는 일반적인 기계식 셔터에서는 30초 ~ 1/8000초 까지 지원한다. (물론 기기마다 상이함.)
갑자기 어려운 얘기라고 생각이 될수도 있겠습니다. 조금 더 쉽게 접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셔터박스는 사람의 눈으로 비교하자면 눈꺼풀이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카메라는 평소에는 계속 눈을 감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인이 카메라를 작동시켜서 "저걸 찍어!" 라고 하면 카메라는 눈을 떴다 감습니다. 그 순간을 담기 위해서 말이죠.
그 속도가 길면 30초, 짧으면 1/8000초 까지 가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보급형 카메라에서는 1/4000초 까지만 지원하게 됩니다.
엄청나게 느리거나, 엄청나게 빠른 것이죠.
근래에 나온 소니의 A9 시리즈는 블랙아웃없는 전자식 셔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더 높은 셔터속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SiCF/btqC6mybkXf/9jt0xD8BYxNGKeQk8OYkOk/img.png)
셔터속도에 따라서 노출의 변화가 생기기도 하며, 셔터속도가 느리게 되면 움직이는 피사체를 잡기는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광량이 낮은 야경을 찍을 때에는 삼각대를 놓고 찍는 이유가 바로 그 이유죠.
위 사진처럼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사진을 찍을 때에는 충분한 셔터속도 확보가 중요합니다.
#2. 흔들리지 않는 사진을 찍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역동적인 사진을 찍다보면 가끔 흔들리는 사진을 찍게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촛점영역별 셔터속도에 대해서 언급하겠습니다.
사진을 찍는 다는것은 곧 셔터를 누른다는 것인데, 사람이다보면 심장이 뛰고, 수전증이 있으신분들도 있을것이며, 셔터를 누르는 동작을 하면서 작은 움직임이 있게됩니다.
그 최소한의 셔터속도는 못해도 1/60초를 확보하라고 하고 싶습니다.
물론 이렇게만 찍으라는 소리는 아닙니다. 핸드헬드, 즉 손으로 들고 찍을 때의 최소한의 셔터속도인 겁니다.
조금 더 나아가서 설명을 드리자면,
렌즈는 화각이란게 존재합니다. 16mm, 50mm, 85mm, 200mm 등등 광각부터 망원까지 다양하게 존재하죠.
그럼 여기서 렌즈화각대 별 최소한의 셔터속도는
![](https://blog.kakaocdn.net/dn/Forec/btqC21WydNm/Hubw54PKJi4jHHrv4aeew0/img.png)
예를 들자면, 50mm대는 1/50초, 200mm 는 1/200초를 놓고 찍으셔야 흔들림 없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1/50초는 없으므로 1/60초를 놓고 찍으시면 됩니다.)
이는 렌즈가 망원으로 가면갈수록 흔들림이 심해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에서 오는 결과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3gaj/btqC2tsb2BZ/EKtfzApedCOWIaF1oPq4dk/img.webp)
![](https://blog.kakaocdn.net/dn/cTDsbV/btqC21IYAEE/jr6WDNXM93mfuut46qXCN0/img.webp)
#3. 셔터속도를 활용한 다양한 사진 찍어보기
지난번에 언급했던 조리개에서는 조리개 수치가 낮으면 인물사진, 조리개 수치가 높으면 풍경사진을 찍기 좋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그럼, 셔터속도를 이용해서는 어떤 사진들을 찍을 수 있을까요?
보통 흔들린 사진은 망한 사진이다 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이 흔들리는 사진을 역으로 이용해서 찍는다면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겠죠.
장노출
패닝샷
주밍샷
틸팅샷
첫 번째는 장노출입니다.
장노출을 하려면 일단 삼각대가 필요합니다. 삼각대가 없으시다면 난간에 세워놓고 찍어보셔도 좋습니다.
이렇게 셔터속도를 길게 잡고 찍으시면 자동차의 빛이 움직이는 것을 그대로 찍히며, 이는 궤적이라고 하는 아름다운 장관을 이루게 됩니다.
위 사진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첼로포인트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이렇게 궤적으로 도로의 빛을 이뤄내는 거죠.
![](https://blog.kakaocdn.net/dn/VNclv/btqC6P1b3Qe/6WZLPyMaedxs0oh13P1g30/img.jpg)
장노출을 다시금 활용하면 이렇게 궤적을 이용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입니다. 별모양이 참 이쁘게 잡혔죠?
두번째는 패닝샷입니다.
패닝샷은 죄송하지만 제가 찍은 사진이 없어서 다른분들의 사진을 가져와봤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z8KZ/btqC5pIEceG/hbZx2ZyKFnXfFysZN7O2aK/img.png)
구글에서 패닝샷을 찍으면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낮은 셔터속도에 맞춰서 피사체를 따라가면 배경은 흔들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피사체는 또렷해지는 사진기술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샷을 많이 안찍어서,, 사진이 없습니다..
패닝샷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구글에 검색하셔서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번째는 주밍샷입니다.
이 주밍샷에서의 준비물은 줌렌즈입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장노출을 하면서, 줌을 순식간에 땡겨주는 겁니다. 그러면 빛의 궤적들이 줌에 맞춰서 나오게 되죠.
1/2초라는 짧은 시간에 줌을 확 당겨주면 나오는 사진입니다.
특히 밤에 빛이 많을 때 찍으면 굉장히 이쁜 사진이 나오죠.
저는 단렌즈 덕후라 단렌즈들만 보유하고 있어서 근래에는 거의 안찍는 샷입니다..
마지막 네번째는 틸팅샷입니다.
또 한번 죄송하지만 이 부분도 저는 안찍어본 사진이라 구글에서 이미지를 대처합니다.
(추후에 찍어서 다시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CknH/btqC3OvCIhL/8cZB3m32FoZTOJu0e5ER8k/img.png)
이 또한 장노출을 이용한 사진이며, 피사체를 따라가야하는 패닝샷과는 달리 장노출로 설정한 뒤, 위아래로 강제로 흔들며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4. 정리하자.
![](https://blog.kakaocdn.net/dn/bVvsxx/btqC7r6RbVn/8AXpj0ctkLUdNZdJIIf7s1/img.jpg)
셔터속도에 대해서 언급해 봤습니다.
일단 셔터속도가 느리면 더 밝게 찍히는 것과, 빠르면 어둡게 찍히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 계셨던 부분일 겁니다.
하지만 이 두가지를 적절하게 활용한 장노출, 패닝샷, 주밍샷, 틸팅샷 등을 알게 되셨습니다.
흔들리는 사진은 무조건 좋지 않다라는 시선을 깨는 포스팅일 듯 합니다.
저 또한 다양한 기법을 이용해서 촬영을 해보진 않았지만 이 기회에 한번 씩 찍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읽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하루하루가 행복한 나날을 보내길 기원합니다. : )
'Photography > Photo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얌준의 사진강좌 ::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란? (Feat. 색온도) (0) | 2020.04.13 |
---|---|
얌준의 사진강좌 :: 사진 잘 찍는 방법 (5) | 2020.04.04 |
얌준의 사진강좌 :: ISO 감도란 무엇인가? (0) | 2020.04.03 |
얌준의 사진강좌 :: 조리개(Aperture)란 무엇인가? (3) | 2020.03.31 |
얌준의 사진강좌 :: 노출의 3요소(조리개, 셔터속도, 감도(ISO)) 에 대한 이야기 (1) | 2020.03.27 |